Published 2022. 11. 29. 16:48
반응형

우리가 자바 공부를 할 때 자주 접했던 자바의 장점 중 하나가 

c와 다르게 멀티 스레드가 가능하다 라는 내용을 한 번쯤은 접해보거나 들어봤을 겁니다

그럼 이제 자바의 장점 중 하나인 스레드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ㅎㅎ

 

스레드를 이해하기 위해선 프로세스가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먼저 프로세스란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 합니다 

이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 편하게 생각하고자 한다면 스레드가 모여서 프로세스를 이룬다고 생각하셔도 

괜찮습니다 

 

스레드는 구현하기 위해 Thread클래스를 이용하는데 java.lang.Thread 에서 import 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ㅎㅎ

 

스레드를 생성하기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상속받아서 쓰레드를 생성한다

2.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생성한다

 

우리는 간단하게 상속받아서 생성하는 예제를 확인해 봅시다 

 

public class blog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Test test = new ThreadTest();
		test.run();
	}

}

main 메서드에서 객체를 생성해줍니다 ㅎㅎ 그럼 이제 run 할 준비가 된 것이죠 

 

그럼 ThreadTest 클래스를 확인해봅시다 

package studyProject;

public class ThreadTest {
	   
	public void run() {

			try {
	        	
	        	for(int i = 0 ; i < 10 ; i++) {
	        		
	                // 딜레이 0.5초
	                Thread.sleep(500);
	                
	                System.out.println("Thread : " + i);
	                
	            }
	        	
	        } catch(Interrupted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
	        }
	}
}

 run 메서드를 구현했습니다

내용은 간단하게 딜레이를 0.5 초 준 후에 숫자를 출력하는 구문입니다 

 

이렇게 간단한 구문을 직접 실행해보고 아 이렇게 동작하는구나 하고 

깨닫는 시간만 됐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스레드의 내용은 좀 더 길고 복잡하긴 합니다 ㅎㅎ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 일진 몰라도 

오늘의 내용만 먼저 확인하고 다음 시간에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뤄보도록 합시다 

 

스레드의 상태들을 확인하는방법이라던지 

스레드의 특성이라던지 한번 종료하면 재사용은 안된다던지 

이러한 내용들이 많습니다 ㅎㅎ 

 

한 번에 모든 것을 다 확인하고 알아가면 좋겠지만 사람 머리에도 하루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있다더라고요?ㅎㅎ 그러니 조바심 내지 말고 하나씩 알아가는 시간이 

되도록 같이 노력하도록 합시다 감사힙니다! 최대한 빠르게 정리해서 업로드하겠습니다

 

반응형

'Developer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람다식  (0) 2022.12.07
[java]스레드2(Thread)  (0) 2022.12.06
[java]I/O_2  (0) 2022.10.13
[java]I/O  (0) 2022.10.12
[java]Stream  (1) 2022.10.04
복사했습니다!